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Dr.Yeo 버전3 양자중력공간 에세이

정상 우주론을 통해서도 밤하늘이 왜 어두운지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우리 은하로 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시공간 팽창도가 증가하는 시공간 구조를 우리가 사는 우주가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먼 거리의 은하로 부터 오는 빛은 그 은하가 존재하는 시공간의 높은 시공간 팽창도의 효과를 그대로 그곳에서 달려오는 빛은 그 속성으로 가지고 오게 된다. 결국 지구에서 관찰하게 되는 빛의 파장은 매우 팽창되고 늘어나서 마이크로파의 형태를 띄게 된다.


광전효과의 실험 결과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진동수가 적은 것은 에너지가 적다. 어느 일정한 에너지 이상이 되어야 전자가 튀어나온다.
이는 우리 눈의 시세포에도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즉, 일정 이상의 파장과 진동수를 가진 빛이 와닿아야 시세포가 작동을 한다. 시세포가 작동하지 않으면 빛을 감지하지 못하고 사람은 깜깜하게 느끼게 된다.

즉, 아무리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낮은 빛이 와닿는다해도 시세포가 반응을 하지 않으면, 결국 사람은 밤하늘이 깜깜하다 인식하게 된다.

우리 은하로 부터 어느 거리 이상으로 먼 은하들의 빛은 대부분 사람의 시세포가 반응할 수 있는 미만의 에너지를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 주변에는 이와 같은 낮은 에너지의 빛은 무수히 많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서 빛의 낮은 에너지를 설명할 때 관여하는 요소는 크게 두가지이다.
(1) 빛의 파장과 진동수가 일정하게 진행한다 할 경우 거리의 역제곱에 비례해서 빛의 강도(진폭)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2) 은하 거리에 따른 시공간 팽창도의 증가 효과가 빛에 반영되어 우리 눈에 관찰되는 빛의 파장은 팽창되어 늘어난다는 것이다.

위 두가지 효과에 의해서 밤하늘은 깜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상 우주론을 통해서 충분히 올베르스의 역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덧글

  • 근데 좀 이상? 2009/06/23 02:14 # 삭제 답글

    예전에 책에서 읽은 내용이랑 뭔가 좀...

    그 당시 책에서 읽었던 게 어떤 내용인지는 기억이 거의 나질 않지만 암튼...

    뭔가 좀 이상하네요~ ^^

    시간나면 다시 찾아봐야지~ ^^
  • 자지 크기 manclinic net 2022/09/07 18:37 # 삭제 답글

    좋은 게시물, 더 기다리고 있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양자중력공간 이론과 빛

본 블로그의 독특한 내용과 아이디어는 저자의 허락이 없는 한 함부로 타 논문이나 저서 또는 특허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를 어길시 저는 법적으로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그러나 본 블로그의 내용과 아이디어는 오직 저의 허락하에 사용가능하오니 이를 논문이나 저서에 인용하거나 사용하실 분은 반드시 저에게 연락주십시오(yshoono@hotmail.com). 그러나 인터넷에서 비영리 목적으로 건전한 토론의 목적으로 원저작자를 표시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은 허락합니다.